반응형
앞서 여러 포스팅을 통해 집값 우상향에 대한 제 견해를 공유드렸습니다. 현재 무주택자라면 가능한 빨리 실거주 목적의 1채를 구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소한 2023년까지는 바로 '오늘' 아파트 가격이 제일 싸기 때문입니다. 물론 자신의 감당가능한 범위를 벗어난 영끌을 해선 안되지요.
저는 최근 경기도에 아파트 청약을 받았습니다. 2023년 입주 예정이고 지하철이나 기타 다양한 호재가 있는 곳 입니다. 2023년 후, 그리고 이후 3기 신도시 입주가 본격화 되면 집값이 떨어지는 것 아니냐구요? 저는 오히려 그렇게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바로 그 때가 상급지로, 더 넓은 평수로 갈아탈 수 있는 기회가 되기 때문입니다.
제 플랜에 대해 간단히 써보겠습니다.
- 2023년 입주, 분양가 약 5억원, 실거래는 약 8억원 내외일 것으로 예상
- 2030년 3기 신도시 입주 본격화, 실거래 가격은 약 10억원 내외일 것으로 예상
- 이후 집값이 폭락한다면? 상급지와 대형 평수가 더 타격을 입게 됨
- 정부에서는 경기 부양을 위해 부동산 대출규제 등을 완화할 가능성이 높음
- 현재 보유 중인 아파트를 9억에 정리하고 추가 대출을 받아 상급지 대형 평수로 이동
- 또는 2주택자로 기존 주택을 전세 주고 상급지 대형 평수를 추가 매수
반응형
'Invest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ETF QQQ 특징과 장단점, 투자 시 주의사항 한눈에 보기 (0) | 2021.08.05 |
---|---|
GTX-C 노선 빛 좋은 개살구가 될 수 있는 이유 (0) | 2021.07.13 |
2030년까지의 부동산 전략 공유 (0) | 2021.07.09 |
심상치 않은 코로나 상황과 아파트 가격 (0) | 2021.07.09 |
아파트 가격 언제 떨어질까? (0) | 2021.07.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