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한민국 부동산은 그야말로 격변의 시기를 보내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발 저금리로 촉발된 실물 자산 가치의 급격한 상승은 벼락거지, 무주택자의 절망 등 다양한 신조어를 만들어낼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최근 분위기가 심상치 않습니다. 한국은행에서 긴축에 대한 신호를 보내며 금리인상의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 이주열 총재는 대표적인 비둘기파였습니다. 흔히 경제적 용어로 매파 또는 비둘기파라는 표현을 쓰는데 이는 통화정책에 있어서 보수적인지 혹은 급진적인지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한국은행의 급진적인 정책으로 사상 초유의 저금리가 단행되었고, 코로나 상황을 안정시키는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주식, 부동산 등의 폭등 처럼 저금리의 부작용 또한 나타났습니다.
그렇다면 금리가 올라가면 부동산은 무조건 떨어질까요? 저는 아니라고 봅니다.
- 금리가 올라가 많은 대출을 받기 어려운 상황이 된다.
- 하지만 서울과 경기는 2023년까지 기존에 비해 공급 부족인 상황이다.
- 따라서 실거주 목적의 신규유입이 늘어나면서 전세 수요를 가속화 할 것이다.
- 올라간 전세 보증금으로 인해 매매가 역시 상승하게 된다.
금리를 1번만 올려서는 절대 효과가 없습니다. 최소 2번 이상, 그리고 앞으로 계속 올라간다는 분위기가 형성되어야만 매수 심리가 꺾이게 될 것이고 그제서야 부동산 하락의 시기는 도래할 것입니다.
반응형
'Invest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상치 않은 코로나 상황과 아파트 가격 (0) | 2021.07.09 |
---|---|
아파트 가격 언제 떨어질까? (0) | 2021.07.09 |
도지코인 전망 초보자가 알아야 할 일론 머스크의 진짜 속내 (0) | 2021.04.02 |
3기 신도시 예상 분양가 생각보다 높을 수 있는 3가지 이유 (0) | 2021.03.31 |
오세훈 서울시장 당선 이후 서울부동산 전망 (0) | 2021.03.25 |
댓글